티스토리 뷰
|코어파킹이란
코어파킹이란 CPU가 일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저전력을 유지하는것이 아닌 아예 특정코어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소모를 줄이는 기술입니다.
코어파킹을통해 전력소모와 발열을 줄일 수 있지만 단점으로는 반응속도가 느려진다는 겁니다. (우리가 체감하기는 힘든 차이입니다)
이전에는 코어파킹을 할 때 프로그램이 아닌 레지스토리 수정으로 전원옵션에 나오게 해서 수정했는데 편리한 프로그램이 있어 소개합니다.
|코어파킹 프로그램
http://coderbag.com/Programming-C/CPU-core-parking-manager-v3
우선 위 링크에 들어간 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다운받은후 설치하시고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Core parking index는 코어파킹을 얼마 남기고 할 것인가를 고르는 항목으로 물리코어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i7의 경우 물리코어 4개 논리코어 8개로 실제코어 개수는 4개기 때문에 최대 25%는 최대 3개 코어파킹가능 50%은 2개 코어파킹가능 75%는 1개 코어파킹가능 0%는 0개코어파킹가능입니다.
각기 다른 CPU도 1/n 해서 코어파킹 안되길 원하는 %만큼을 설정하면 되겠습니다.
Turbo boost index는 아래의 Frequency scaling index를 100%로 하지않으면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강제로 최고성능을 원할때 두 설정 모두 100%로 설정하면 상시로 최대클럭이 적용됩니다.
Frequency scaling index는 CPU 클럭을 어느정도를 유지할지 정하는 옵션인데 마찬가지로 필요할때는 클럭이 올라가기 때문에 5%로 설정하면 됩니다. (만약 100%로 설정한다면 상시 최고클럭을 유지하게 됩니다)
모든 설정을 하신 후 Apply버튼을 통해 설정을 저장하면 됩니다.
재부팅후에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본글의 취지와는 다르지만 만약 최고성능을 (전력, 온도를 무시하고) 유지하고 싶다면 모든 항목을 100%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출처/참고
http://www.coolenjoy.net/bbs/37/170369
- Total
- Today
- Yesterday
- RS4
- 샌디스크
- 텐서보드
- VSCode
- Jupyter Notebook
- 텐서플로우
- 화면캡쳐프로그램
- 명암비
- 화면캡쳐
- 라데온
- 크롬
- 프리싱크
- 픽셀
- 우분투
- 스레드리퍼
- 아마존
- 주피터 노트북
- 쓰레드리퍼
- tensorboard
- 동기화 오류
- tensorflow gpu
- 윈도우10
- 명암
- constant
- Sandisk
- 와트맨
- TensorFlow
- 최적화
- 디스플레이
- AM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