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AMSUNG evo+ VS SAMSUNG evo plus
삼성 microsd 에서 새로운 라인업이 나왔습니다. 사실 새로운 라인업이라기 보다는 기존의 라인업을 대체하는 제품인데 기존의 경우 SAMSUNG MICROSD evo+ 인 반면 새로나온 제품은 evo plus(+을 plus로 바꾼...)입니다.
기존에 필자가 가지고 있던 evo+ 256GB모델과 신형 evo plus 256GB 모델 비교해볼려고 합니다.
|SAMSUNG evo plus 개봉기
우선 개봉기부터 할려고 합니다.
개봉기라고 해도 별건 없습니다.. 항상 똑같은 패키지입니다.
기존 evo+모델과 비교입니다. +과 plus말고는 딱히 다른점이...
바로 성능 비교로 넘어가겠습니다.
|SAMSUNG evo plus 성능
마지막 3번째 측정값을 보는게 제일 정확할 겁니다. 1번째 2번째 사진은 노트북 리더기에서 측정한 사진이고 3번째는 최대 90메가까지 지원하는 카드리더기에 넣어서 측정한 값입니다.
기존의 evo+모델의 결과를 보면
역시 동일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심지어 evo+의 경우 기존에 사용중이었기 때문에 반정도의 용량을 사용한 상태로 측정했습니다.
신형이라고해서 성능이나 다른 부분에서 개선은 없다고 생각하면 될거같습니다. 오차범위인지는 모르겠지만 4k순차성능들이 대체적으로 신형이 더 좋은 모습입니다. (다만 용량을 모두 비우고 측정한게 아니기 때문에 정확하게 비교는 불가능합니다)
위제품 둘다 256기가모델이기때문에 용량이 더 적은 모델의 경우 성능이 약간 더 떨어질 겁니다.
직접 파일을 이동할 경우 40~70사이의 안정적인 쓰기속도를 보여줍니다.
|결론
두 SD카드는 리네이밍일뿐 아무 차이가 없다는 점입니다. 차이모두 오차범위에 속하는 차이를 보여줬습니다. 물론 필자가 가지고 있는 리더기의 성능문제로 제 성능이 끝까지 안나왔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카드리더기가 70메가정도의 속도를 보여주는걸 생각하면 성능면에서는 아무 차이가 없다고 생각해도 될 거 같습니다.
이것으로 간단하게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출처/참고
광고
- Total
- Today
- Yesterday
- TensorFlow
- constant
- 명암비
- 라데온
- 동기화 오류
- 텐서보드
- 프리싱크
- Sandisk
- tensorboard
- 아마존
- 쓰레드리퍼
- 주피터 노트북
- VSCode
- RS4
- Jupyter Notebook
- 크롬
- 텐서플로우
- 샌디스크
- 우분투
- AMD
- tensorflow gpu
- 픽셀
- 화면캡쳐프로그램
- 화면캡쳐
- 윈도우10
- 명암
- 디스플레이
- 최적화
- 스레드리퍼
- 와트맨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