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모 고급시계 유튜버는 CRT모니터를 이용해서 게임을 한다. 요즘 나오는 LED모니터를 사용하는게 더 좋을 것 같은데 왜 CRT를 사용할까?

CRT만의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아래 글에서 간단한 원리와 장점을 살펴보자.

 

 

 

◇CRT란 무엇인가

 

CRT란 무엇일까? 흔히 브라운관이라고 하는 모니터이다. (발명자의 이름을 땄을때 브라운관이라고 한다) 

위 형태의 모니터를 오래전에 봤을 것이다,

CRT는 Cathode-Ray Tube의 약자이다.

아래에 쓸 내용들은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간단하게 쓰는 것이기 때문에 자세한 정보를 알고싶다면 아래 출처의 나무위키에서 정독해보기 바란다.

 

 

◇CRT의 원리

 

 

 

CRT는 음극선관 진공관이라고도 불리며 받는 신호를 전자총에서 음극선(전자빔)을 발사하여 유리에 칠해진 형광물질과 충돌하여 빛을 내는 방식이다.

 

 

 

위 그림처럼 전자총에서 전자빔을 발사하여 화면에 발라진 형광물질과 충돌하여 빛을 내는 방식이다.

전자총에서는 RGB 3가지 색이 나오며 전자석을 사용해서 원하는 방향으로 전자를 보낸다. (원하는 곳에 보내야 원하는 영상이 나온다)

이렇게 화면의 곳곳에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강도로 빛을 보내서 화면이 나오는 방식이다.

 

이것이 가장 기본적인 원리이고 더 자세한 원리는 직접 읽어보기 바란다.

 

 

◇CRT의 장점과 단점

 

 

그러면 CRT의 장점은 무엇일까?

 

우선 색재현률이 좋다.

OLED와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지만, LCD와 비교할시 월등하게 좋다. LCD는 백라이트가 있어 완벽한 검은색을 만들수 없지만 CRT는 검은색인 부분에는 전자를 보내지 않기때문에 완전한(?) 검은색을 보여줄수 있다.

 

아날로그 방식이다.

아날로그 방식이 왜 좋냐고 할수도 있지만 저해상도에서도 픽셀이 크게 보인다거나 화면이 심하게 뭉게지거나 깨지지 않는다.

과거 PS1,PS2를 지금의 모니터에 붙여보면 과거보다 훨씬 안좋은 화질을 보여준다. 브라운관을 쓴다면 크게 문제없이 사용가능하다.

 

색상왜곡이 적고, 색상이 화사하다.

직접 빛을 뿜어내기때문에 보는 각도에 따른 왜곡이 적고, 색상이 LCD에 비해서 자연스럽다.

 

반응속도가 빠르다.

프레임과 별도로 (30이상은 크게 상관없다) 반응속도가 매우 빠르다. LCD같은경우 요즘에서야 반응속도 5ms 와 같은 제품이 나오지만 브라운관은 처음부터 0.0000000005ms 아래라고 한다. (전자총을 쏘기때문에 그야말로 빛의속도의 반응속도가 나온다)

LCD중에서도 반응속도가 2ms이하인 것과 지싱크를 지원하는 것들이 나오곤 있지만 가격이 비싸다.

 

다음으로 알아볼것은 단점이다. 사실 단점은 매우 간단하다.

 

부피가 매우 크다.

전자총을 쏘기때문에 부피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매우 무겁다.

부피가 크기때문에 당연히 무거울수밖에 없다.

 

전기를 많이먹는다.

 

수명이 짧다.

전자총의 출력과 형광물질의 양이 각각 다르게 바뀌기때문에 주기적으로 캘리브래이션을 해주어야 한다.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정지화면에서도 계속 화면이 바뀌기때문에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정리

 

 

사실 LCD와 OLED(가격만 해결하면)가 충분히 발전했기 때문에 돈만 있다면 OLED를 사용하는게 좋다.

현재로서는 구할려고 해도 유명한 기업들의 제품은 이미 생산중지했기 때문에 구할수도 없고, 수명이 짧기때문에 중고로 구하기도 애매하다.

(알리바바에서는 아직도 신품이 나온다고는 한다...)

 

LCD와 비교해서 가격도 크게 차이가 나지 않기때문에 그냥 LCD를 쓰는것이 낮다. 위에서 화질손상이 별로 없다고 했지만 그것은 뭉개짐이 없는 것이지 결코 화질이 좋다는 것은 아니다.

 

어짜피 일부 FPS나 리듬게임 마니아들을 제외하고는 CRT를 구하지는 않을 것이다. (구하기도 힘들고...)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질문하면 아는 선에서 답하도록 하겠다.

 


 

 

 

 

참고/출처

https://namu.wiki/w/CRT

http://techinitem.blogspot.kr/2009/03/crt.html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k130694&logNo=220684880502&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그대로 복사한곳은 없으며 여러사이트를 참고하여 새롭게 정리했습니다. 더 자세히 알고싶으신 분들은 한번씩 읽어보면 좋을듯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