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adripper 2nd Gen WCCF에서 쓰레드리퍼 2세대에 대한 정보글으 올렸습니다. (WCCF는 신빈성이 없기로 유명한 사이트로 어느정도 걸러서 들으시면 됩니다) Ryzen Threadripper 2990X (32 Core / 64 Thread) Ryzen Threadripper 2950X (16 Core / 32 Thread) 얼마전 2세대 쓰레드리퍼로 시네벤치를 하는 사진도 유출됬던 적이 있습니다. (정정합니다. 컴퓨텍스 2018애서 공식적으로 언급됬으며 클럭과 가격만이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해당 사진들은 해외 포럼에서도 '주작' 사진이라고 불리는 사진들입니다. 다만 이번 WCCF에서 말한 내용은 해당 사진과 매우 비슷합니다. 위에서 말했듯 이번 라이젠 2세대는 우선 2가지 라인업으로 ..
|동영상 코덱이란 이전에 올렸던 글 중에 동영상 확장자에 대한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http://lucycle.tistory.com/68?category=750338 간단하게 다시 정리해보면 동영상 확장자란 영상과 소리를 한군대 담아놓는 상자같은 것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코덱이란 정말 간단하게 설명하면 영상과 소리를 어떻게 정리할지에 대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코덱이란 '비디오나 오디오를 플레이어가 처리가능하게 원본 소스를 압축해서 보관하는 코더와, 재생하기 위한 디코더가 합쳐진 말입니다' 코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해왔고 최근에는 동일 화질에서 용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동영상 코덱이 달라지게 되면 화질, 용량이 변하게 됩니다. 각 코덱마다 압축하고 디코딩하는 과정..
|프로그램 자동실행 윈도우 10 RS3때 나온 이 '버그'는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재부팅전 실행되고 있던 프로그램이 다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버그가 있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 기능이 있기때문에 더 편하다고 했지만 필자를 비롯한 사람들은 오히려 불편함을 호소했지요. (특히 재부팅하고나도 은행보안프로그램들이 XX 그대로 실행되는 문제가..) 다행히 RS4때는 이 기능이 고쳐졌는데 해당기능을 끌수있는 옵션을 만들었습니다. |프로그램 자동실행 끄는 방법 윈도우 설정에 들어간 후(시작버튼에 있는 톱니바퀴) 계정에 들어갑니다. 계정에서 로그인 옵션을 누른후 아래로 내리면 해당 설정이 있습니다. 이 설정으로 끔으로 바꾸면 컴퓨터가 재부팅되고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지 않습니다. 출처/참고
|VMWARE tool 설치 방법 vmware tool이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권한 문제로 발생되는 것으로 보이는데 설치버튼 자체가 흑색으로 보이며 설치를 진행할 수 없다면 직접 수동설치를 해야 합니다. 아래는 수동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vmware가 설치된 폴더에 있는 windows.iso 파일을 찾아야 합니다. 제 컴퓨터 기준으로는 C:\Program Files (x86)\VMware\VMware Player 폴더안에 있습니다. 이제 가상머신을 실행한 다음 CD롬에다가 저 파일을 마운트 시켜 줍니다. 마운팅이 끝난 후 가상머신 내의 내 컴퓨터에 들어가면 해당 이미지가 들어가 있습니다. 설치한 운영체제 버전에 맞게 setup과 setup64중 아무거나 눌러서 설..
|숨김파일 보는 방법 숨겨진 파일 또는 폴더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우선 파일 탐색기를 연다. (Win + E 키로도 열수있다) 상단에 있는 보기 탭을 누른다. 보기 탭을 누른후 우측 상단에 있는 옵션을 누르고 폴더 및 검색 옵션 변경을 누른다. 보기 탭을 누른 후 숨긴파일, 폴더 및 드라이브 표시를 찾아 누른후 적용을 하면 숨겨진 폴더들이 보인다. 윈도우 8일 경우 위와 동일한 화면일 것이고 윈도우7일 경우 구성 탭에서 찾으면 될 것이다. 숨겨진 폴더 및 파일은 살짝 연하게 표시되며 보일 것이다. 출처/참고
|윈도우 10 RS4 17133.1 > 17133.73 오류해결 버전 업데이트 방법 얼마전 RTM으로 나온 윈도우 10 RS4 17133.1버전에 치명적인 오류가 확인되어 업데이트가 연기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확인된 오류는 일부 하드웨어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일이 생겼다고 하며, 해당 이슈로 인해 업데이트가 긴급 중지되었습니다. 현재 해당 오류를 해결한 버전의 업데이트가 나왔으니 RS4를 사용중이신분은 수동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됩니다. 다운로드 : http://download.windowsupdate.com/d/msdownload/update/software/secu/2018/04/windows10.0-kb4100375-x64_1df891e137e7b949c68013166ce2fdb6b28f230b.cab..
◇동영상 확장자란 동영상 파일을 보면 뒤에 mkv, avi, mp4 등의 다양한 확장자가 존재한다. 확장자에 따라서 재생이 될 때도 있고 재생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동영상 확장자가 있는 이유와 동영상 확장자마자 차이는 무엇일까? 우선 동영상 확장자라는 것은 하나의 상자라고 할 수 있다. 동영상과 소리 그리고 기타 정보등을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인 것이다. 그래서 동영상 확장자를 동영상 컨테이너 라고도 부른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동영상 확장자(컨테이너)의 종류에 따라 담을 수 있는 동영상, 음성, 기타 정보등이 변하는 것이다. ◇동영상 확장자에 따른 차이 위에서는 동영상 컨테이너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게만 알아보았다. 지금부터는 동영상 컨테이너에 따른 차이가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서 자..
◇LDAC이란 소니가 개발한 무선 오디오 코덱인 LDAC은 무엇일까? LDAC은 HRA(High Resultion Audio)를 손실없이 무선으로 보내기 위해서 개발된 무선 코덱이다. 기존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코덱인 SBC코덱은 약 328kbps 의 대역폭으로 노래를 전송할 수 있었다. 반면 소니가 개발한 LDAC은 SBC의 3배에 가까운 약 990kbps의 비트레이트를 24비트 96KHz로 손실 없이 전송할 수 있다. 즉 LDAC은 기존 MP3가 아닌 훨씬 고해상도의 음원들을 손실없이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 HRA 코덱인 것이다. LDAC을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HRA음원이나 비트레이트가 높은 음원을 사용해야 하고 기존 MP3라고해도 SBC와 다르게 손실되지 않게 전송하기 때문에 음질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와트맨
- 아마존
- 최적화
- VSCode
- Sandisk
- 화면캡쳐프로그램
- 우분투
- 스레드리퍼
- RS4
- 명암비
- 주피터 노트북
- 프리싱크
- TensorFlow
- 화면캡쳐
- AMD
- tensorflow gpu
- 디스플레이
- 픽셀
- 텐서보드
- 명암
- 라데온
- Jupyter Notebook
- 동기화 오류
- 텐서플로우
- 쓰레드리퍼
- 샌디스크
- 크롬
- 윈도우10
- constant
- tensorboar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