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scanf와 scanf_s의 차이점부터 설명하겠습니다. scanf_s는 scanf의 문제점을 해결한 함수로 오버플로우의 상황을 막기위한 함수입니다.기존의 scanf는 크기를 지정하지 않고도 문자열을 입력받았지만 scanf_s의 경우 크기를 지정해야지만 문자열을 입력받습니다.이로인해 오버플로우의 상황을 막을 수 있는 함수로 scanf대신 scanf_s를 사용하는 버릇을 들이는것이 좋습니다.|scanf_s scanf_s를 줄여서 scanf라고 하겠습니다. scanf는 사용자로부터 값을 입력받기 위한 함수로 지정한 위치에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123456789101112# include int main() { int test; printf("숫자를 입력하시오 : "); scanf_..
printf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각 예제 소스는 직접 빌드해서 값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printf printf는 말그대로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함수입니다.printf("Hello World") 라고 치게 되면 하면에 Hello World 가 출력되게 됩니다. printf를 사용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printf 안에서 main 문 안에서 사용한 변수를 불러올 수 있는데 1234567891011# include int main() { char test = 'A'; printf("%c\n", test); printf("%d\n", test); return 0;}cs위와같이 코드를 짜고 실행을 하게되면 각각 A와 65가 나오게 됩니다. %d형으로 했을때 65가 나오는 이유는 A의 아..
|우분투 설치도중 프리징 우분투 설치도중 프리징이 나는 컴퓨터가 있습니다. 특히 옵티머스 노트북들이 이런 경우가 많아 보입니다.이 포스팅에서는 설치도중 프리징이 생겨서 설치를 진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볼려고 합니다.|프리징의 원인 우분투 설치도중 프리징이 생기는 원인은 드라이버 충돌이 대부분입니다. 간혹가다 SSD나 특정 하드웨어 문제로 프리징이 생기는 경우가 있지만 대부분은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입니다. 따라서 설치를 진행할때 우분투 기본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치를 진행하고 직접 드라이버를 설치해주면 문제는 해결이 됩니다.|프리징 해결방법 위에서 말했듯이 우분투 내장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하고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우분투를 설치하기위해 컴퓨터를 부팅하면 ..
|Conky 사용하기 리눅스에서 실시간으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려면 터미널에서 nvidia-smi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거나 기타 툴을 실행해야 합니다.이를 더욱 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Conky라는 위젯을 사용할 수 있는데 Conky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위젯입니다.위 이미지처럼 Conky를 사용해서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conky 설치법과 필자가 사용하는 conky code를 공유할려고 합니다.또한 간단한 설정법에 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필자는 우분투 18.04 버전을 사용중입니다. |Conky 설치하기 우분투 18.04 기준으로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치면 됩니다.1sudo apt install conky-allcs위 명령어를 쳐서 설..
|리눅스에서 로지텍 마우스 사용하기 필자는 리눅스와 윈도우를 모두 사용하는데 기본적으로 로지텍 마우스는 리눅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이로인해서 구입을 망설이는 경우가 있을텐데 필자가 직접 써본 결과를 간단하게 말할려고 합니다. 정말 간단하게도 윈도우 상에서 g903과 파워플레이를 등록해 놓은 상태라면 리눅스환경에서도 별다른 설정없이 파워플레이와 마우스가 자동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만약 로지텍 unifying 리시버를 사용중이라면 Sollar을 설치하면 됩니다.우분투 소프트웨어센터에서 검색해서 설치하거나123sudo add-apt-repository ppa:daniel.pavel/solaarsudo apt-get updatesudo apt-get install solaar cs위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해..
우분투에서는 (현재 18.04기준) exfat 규격으로 포맷되있는 USB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는 MS가 exfat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오픈 라이선스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분투를 비롯한 많은 리눅스 운영체제들은 exfat을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를 수동으로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xfat 설치하기 설치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터미널을 열고 아래의 커맨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1sudo apt install exfat-fuse exfat-utilscs위 명령어를 치기만 하면됩니다.필자의 경우 우분투 18.04를 사용하고 있는데 만약 16.04보다 아래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면 위의 패키지들이 기본적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아서 직접 ppa를 통해..
필자는 RTX2080T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분투 18.04에서도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4xx버전에 대해서는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2xxx번대 그래픽카드가 아닌 다른 nvidia그래픽카드들도 적용할 수 있고 다른 우분투 버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RTX그래픽카드의 경우 그래픽가속 자체가 지원되지 않아 최하의 해상도로만 작동하는데 꼭 필요한 설정입니다. |그래픽카드 설치전 할 일 윈도우 에서도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전 드라이버를 DDU라는 프로그램으로 제거하고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분투의 경우에는 기본으로 로드하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가 있고 또는 이미 설치한 상태로 쓰고 있는 경우 이전 드라이버의 찌꺼기가 남을 수 있습니다.우선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전 간혹가..
우분투를 쓸 때 필자의 경우 윈도우와 멀티부팅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윈도우를 기본 부팅으로 설정하고 자동선택시간을 줄이고 싶을 수 있는데 이번 포스팅은 이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할 것입니다. |우분투 부팅순서 우분투의 부팅순서는 /grub안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윈도우 부트로더처럼 우분투는 grub 부트로더를 사용하기 때문인데 따라서 우분투 안에서 해당 파일을 변경하면 부팅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1sudo nano /etc/default/grubcs터미널에서 위 명령어를 쳐서 grub 파일을 오픈합니다. grub파일을 열면 위와 같은 모습입니다.여기서 GRUB_DEFAULT 는 기본으로 부팅할 운영체제GRUB_TIMEOUT 은 몇초후 자동 선택될지 입니다.기본으로 부팅되는 운영체제는 grub..
- Total
- Today
- Yesterday
- 명암비
- VSCode
- 아마존
- 샌디스크
- 화면캡쳐
- Jupyter Notebook
- 텐서플로우
- 명암
- Sandisk
- 최적화
- 주피터 노트북
- TensorFlow
- 라데온
- 쓰레드리퍼
- tensorflow gpu
- AMD
- tensorboard
- RS4
- 스레드리퍼
- 픽셀
- 동기화 오류
- 윈도우10
- 와트맨
- 텐서보드
- 화면캡쳐프로그램
- 디스플레이
- 우분투
- constant
- 프리싱크
- 크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